
기타 [분당신문] 겨울철 빙판길 낙상사고 대처법
페이지 정보

본문
넘어졌다면 큰 통증 없어도 기본 검사 필요 … 제때 치료하고 보행 시작해야 2차 합병증 위험 감소
고관절은 허벅지 뼈와 골반을 연결하는 부위로 인체에서 체중을 가장 많이 지탱하고 서 있거나 걷기, 앉고 일어서는 데 큰 역할을 한다.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면 체중을 지지하지 못하여 온몸을 거의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게 되면서 근력과 뼈 강도의 저하뿐 아니라 욕창이나 폐렴으로 심하면 심장마비나 뇌졸중 등 다양한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
허동범 정형외과 전문의는 “낙상으로 인한 골절은 노인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골절의 심각성이 더욱 커진다"면서
"65세 이상 고연령자라면 낙상 후 큰 통증이 없어도 가까운 병원에서 X-ray 검사를 통해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고관절이 골절이 발생하면 서 있거나 움직이면서 압력이 가해질 때 통증이 심해진다.
다리를 뒤로 뻗거나 양반다리의 동작이 어렵고 골반 바깥쪽 부위와 엉치, 사타구니(서혜부) 통증이 있다.
심하면 보행은 물론 바로 서는 것조차 어렵다. 이럴 때는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중략.....
◆기사가 더 궁금하다면?
- 이전글[이코노미조선] 음주를 즐기는 남성 고관절 통증,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25.02.13
- 다음글[헬스인뉴스] 겨울철 넘어짐 사고 치명적인 부상'고관절 골절' 24.12.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