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헬스인뉴스] 겨울철 넘어짐 사고 치명적인 부상'고관절 골절'
페이지 정보
본문
빙판길에 넘어질 때 반사적으로 손을 짚다가 손목 골절이나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대퇴 골절(고관절), 또는 척추 부위에 압박골절을 입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는데 그중에서도 노년층에서 가장 치명적인 낙상 관련 부상은 고관절 골절이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골절의 심각성이 더욱 커진다.
고관절은 허벅지 뼈와 골반을 연결하는 부위로 인체에서 체중을 가장 많이 지탱하고 서 있거나 걷기, 앉고 일어서는 데 큰 역할을 한다.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면 체중을 지지하지 못하여 온몸을 거의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게 되면서 근력과 뼈 강도의 저하뿐 아니라 욕창이나 폐렴으로 심하면 심장마비나 뇌졸중 등 다양한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낙상으로 인한 골절은 노인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골절의 심각성이 더욱 커진다.
고관절 골절 치료의 핵심은 제때 치료하여 가능한 한 환자를 빨리 일상으로 돌아가 움직이게 해서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65세 이상 고연령자라면 낙상 후 큰 통증이 없어도 가까운 병원에서 X-ray 검사를 통해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고관절이 골절이 발생하면 서 있거나 움직이면서 압력이 가해질 때 통증이 심해진다. 다리를 뒤로 뻗거나 양반다리의 동작이 어렵고 골반 바깥쪽 부위와 엉치, 사타구니(서혜부) 통증이 있다.
심하면 보행은 물론 바로 서는 것조차 어렵다. 이럴 때는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중략.....
◆기사가 더 궁금하다면?
기사 원문 https://www.health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15
- 이전글[이코노미조선] 무릎에서 '퍽'하느 소리 후 덜커덩 거리고 아프다 '반월상연골판 파열' 25.01.02
- 다음글[충청타임즈] 겨울철 칼바람 무릎도 스트레스 '반월상연골판 부상 주의' 24.12.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