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질환 [파이낸셜뉴스] 강추위 지속...나이 먹을수록 '무릎연골' 파열 더 조심해야
페이지 정보
본문
무릎에 있는 반월상연골판 겨울철 손상 취약
겨울 혈액순환 덜 되며 연골판 기능도 저하돼
충분한 스트레칭과 가벼운 운동으로 예방해야
손상 인지하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 찾아 치료
[파이낸셜뉴스] 최근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며 한파경보가 나올 정도로 기온이 낮아졌다.
이런 강추위에는 혈액순환 문제로 연골이 손상돼 파열될 수 있기 때문에 고령층의 경우 추운 겨울날 건강 관리에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무릎 관절 사이에는 반월상연골판이 있다.
반월상연골판은 쉽게 말하면 관절을 받쳐주는 반달모양의 물렁뼈다.
반월상연골판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거나 손상되면 무릎관절의 안정성이 감소하면서 무릎 불안정성으로 인해 보행이 어려워지고 운동능력이 감소하여 무릎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등의 일상적인 활동에 어려움이 생긴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관절에서 체중의 부하를 많이 받는 부위 중 하나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골판의 쿠션 및 충격 흡수 기능이 약해지면서 무릎을 보호하는 기능이 떨어지고 자연스레 일상적인 활동에서도 손상이 누적된다. 계단을 내려가는 동작이나 무릎에 체중을 실어주는 동작도 노화된 연골는 압력을 가해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같은 추운 날씨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권오룡 정형외과 전문의(연세스타병원 병원장)은 “추운 날씨에서는 혈액순환이 감소하는데 충분한 혈액 공급이 유지되지 않으면
연골의 영양 공급이 감소하고 겨울철에 근육은 더 빠르게 긴장하고 관절 유연성이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겨울철에는 이 같은 이유로 무릎 관절이 더 쉽게 제한되고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해 반월상연골에 대한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며
"겨울철에는 일상에서 충분한 워밍업과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중략.....
◆기사가 더 궁금하다면?
기사 원문 https://www.fnnews.com/news/202312211439565376
- 이전글[강원종합뉴스] 50대 이후 무릎 안쪽이 유난히 아프다면? 25.01.09
- 다음글[이코노미조선] 손가락 굽히거나 펼 때 뻣뻣하고 '딸깍'소리, '방아쇠수지 증후군' 25.01.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