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질환 [스포츠조선] '퇴행성관절염 관리' 찬바람에 심해지는 무릎통증
페이지 정보

본문
찬바람이 부는 계절엔 관절 통증이 심해진다.
이는 추운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관절과 주변 조직의 혈액순환이 감소하고 움직임이 없이 잠들어 있는 동안에 근육, 인대 등의 구조물들이 굳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연세스타병원 권오룡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관절은 기온과 습도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관절염 환자들은 특히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아침에 관절이 뻣뻣한 증상은 이유가 다양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통증, 부기 등과 함께 나타나면 퇴행성관절염 시작의 징후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절염은 가을부터 한겨울이 지나기까지 기온이 낮을수록 관절의 유연성이 줄어들고 통증이나 부기가 심해진다.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아침에 바로 일어나지 말고 5~10분간 스트레칭을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따뜻한 핫팩으로 관절을 찜질하고 마사지하면 경직을 풀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관절의 유연성을 높이고 통증이나 뻣뻣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충분한 수분섭취는 관절의 건조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관절 주변에서 윤활의 역할을 하는 활액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활액은 관절의 마찰을 줄이고 충격을 흡수해 관절의 건강을 돕는다.
하지만 무릎의 뻣뻣함과 통증이 지속된다면 히알루론산 무릎 주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이라는 물질은 원래 우리 몸 관절 안에 존재하는 물질로 관절의 윤활제 역할을 하는데 주사치료로 보충을 해줌으로써 퇴행성관절염이나 관절의 경직이 있는 경우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도와준다
.....중략.....
◆기사가 더 궁금하다면?
기사 원문 https://sports.chosun.com/life/2024-10-27/202410270100201880027051
- 이전글[이코노미조선] 어깨가 아프고 손과 팔이 저릿한 '목디스크' 25.01.20
- 다음글[분당신문] 겨울철 빙판길 낙상사고 대처법 25.01.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