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질환 [헬스중앙] 운동 후 무릎 통증과 열감, 붓기 있다면...'무릎 관절 살리는 운동법'
페이지 정보

본문
무릎 관절은 신체의 체중을 직접 지지하는 하중 중심 관절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낮아 근육, 인대, 연골에 크게 의존한다.
특히 일상적인 움직임만으로도 무릎엔 체중의 수 배에 달하는 하중이 실린다.
달리기나 점프 후 착지할 땐 체중의 8배 이상의 충격이 집중될 수 있다.
이때 관절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은 바로 허벅지 앞쪽의 대퇴사두근이 담당한다.
그러나 근육이 부족한 상태에서 유산소 운동만 지속하면 근육이 관절을 보호하지 못하고, 그 하중이 연골로 직격되며 손상이 시작된다.
연세스타병원 정형외과 허동범 병원장은
“중년 이후엔 근육량이 자연 감소하기 때문에 다이어트 시 지방과 함께 근육까지 빠지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무릎이 받는 부담이 더욱 커진다”며 “나이 들수록 허벅지 근육은 무릎의 방패와 같으며,
다이어트 역시 단순한 체중 감소보다 관절을 지키는 방향으로 설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골 손상이 진행되면 무릎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오래 앉아 있을 경우 뻣뻣한 느낌이 지속하기도 한다.
연골연화증은 심각하게 진행될 경우 연골이 순두부처럼 말랑해지다 실타래처럼 벗겨지면서 조기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무릎에 반복적이거나 만성적인 통증과 자주 붓고 열감이 동반된다면 치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땐 정확한 진단으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환자의 관절 상태에 따라 히알루론산 주사, 프롤로주사, 약물 및 물리 치료 등 비수술 치료를 통해 통증을 조절하고 관절 주변 연부조직을 강화할 수 있다.
.....중략.....
◆기사가 더 궁금하다면?
기사 원문 https://naver.me/xhlkBLNx
- 다음글[하이뉴스] 어깨 통증 생기더니 점점 굳고, 밤잠 설치는 오십견 25.07.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